선호도가 높은 아파트 구분
1) 모든 편의시설의 중간에 위치한 동 선택하는 것이 좋음 |
- 동의 위치에 따라 1,000~2,000만 원 시세 차이 발생될 수 있음
- 선호도는 개인 취향이나 가족 구성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모든 편의성에서 크게 뒤지지 않는 중간 위치 아파트가 무난
- 선호도가 높은 무난한 동을 로얄동이라고 부름
2) 초등학교가 도보로 10분 정도 거리 |
- 중학생, 고등학생의 경우 직접 대중교통 이용하여 통학할 수 있지만 초등학생의 경우는 도보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조건 집과 학교가 가까워야 함
-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고 학교에 갈 수 있는 환경을 선호
3) 건축된 지 10년 이내인 새 아파트 |
- 요즘 재개발 및 재건축이 많이 더뎌지고 있어서 새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는 추세
- 새 아파트의 경우 기존 아파트에서는 상상도 못할 편의시설이 갖춰지는 경우가 많음
- 새 아파트가 아니라면 아예 30년 이상 된 아파트가 높은 선호도를 보임
- 안전진단 통해 재건축 가능 판정을 받으면 30년 이상 된 아파트의 경우 값이 순식간에 오르기 때문
4) 교통편의성 |
- 아파트와 도보로 10~15분 거리에 지하철 없다면 기피해야 함
- 단지별 길이에 따라 차이있지만 출입구에서 200m 안쪽으로 지하철역 있으면 초역세권
- 800m나 1㎞ 안쪽이면 준역세권
- 초역세권은 지하철 소음 등이 단점으로 작용해서 역세권이나 준역세권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함
5) 최소 500세대 이상으로 구성된 아파트 |
- 단지 규모가 대단지이고 대기업이 시공한 아파트일수록 선호도가 높음
- 대단지일수록 다양한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
- 동간 거리가 좁으면 단지 전체가 답답하기도 하고 저층이라면 어두워서 살기가 불편할 수도 있음
- 앞면이 최대한 개방되어 있고, 동간 거리가 넓은 아파트 선택해야 함
출처 |
[흙수저 루저, 부동산 경매로 금수저 되다] 저자 김상준 출판 매일경제신문사 발매 2020.07.06 |
2024.06.26 - [재테크] - 경매 수익률을 분석해서 체크해야만 하는 항목에 대해 알아보자
2024.06.25 - [재테크] - 경매감정가가 시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물건은 어떻게 해야할까
2024.06.22 - [재테크] - KB 부동산 심리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2024.06.21 - [재테크] - 입주물량 미분양물량 인허가 물량이 말해주는 것
2024.05.21 - [재테크] - 부동산경매에서 발생하는 비용 정리
2024.05.01 - [재테크] - 낙찰 받기 쉬운 타이밍
2024.05.03 - [재테크] - 허위 임차인 조사 방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 채무자가 아닌 세입자가 거주하고 있을 경우 (52) | 2024.07.01 |
---|---|
이기는 경매 3가지를 알아보자 (55) | 2024.06.30 |
경매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53) | 2024.06.29 |
임대수익과 매도수익에 대해 (50) | 2024.06.28 |
경매 수익률을 분석해서 체크해야만 하는 항목에 대해 알아보자 (46) | 2024.06.26 |
경매감정가가 시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물건은 어떻게 해야할까 (44) | 2024.06.25 |
대항력있는 임차인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4.06.24 |
아파트 매도 시기에 대해서 (48)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