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수익
정년퇴직 앞두고 매월 고정적인 수익이 필요할 때
프리랜서 활동으로 일정한 소득이 발생하지 않을 때
개인 비즈니스로 수입이 일정하지 않을 때
매도수익
매월 일정한 수익이 발생되면 시세차익형의 비중 높일 것
5건 입찰 및 매도 시에는 현금 흐름이기 때문에 7:3 비율로 매도차익 진행
호재 사항, 지역별 공급량, 해당 매물의 저평가 여부 등을 밀도있게 확인하여 단기적 매도차익 만들어야 함
임대한 부동산의 1년이나 2년 계약이 끝나고 양도소득 구간이 일반세율로 적용되는 시점에 바로 매각하고 또다시 임대할 물건을 낙찰받는 것
임대수익 올리는 것과 매도를 통해 차익 챙기는 것 중에 무엇이 낫다고 말할 수 없음

300x250
|
반응형
출처 |
[흙수저 루저, 부동산 경매로 금수저 되다] 저자 김상준 출판 매일경제신문사 발매 2020.07.06 |
300x250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용어 정리 (58) | 2024.07.02 |
---|---|
경매 채무자가 아닌 세입자가 거주하고 있을 경우 (52) | 2024.07.01 |
이기는 경매 3가지를 알아보자 (55) | 2024.06.30 |
경매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53) | 2024.06.29 |
부동산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를 구분해 보자 (51) | 2024.06.27 |
경매 수익률을 분석해서 체크해야만 하는 항목에 대해 알아보자 (46) | 2024.06.26 |
경매감정가가 시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물건은 어떻게 해야할까 (44) | 2024.06.25 |
대항력있는 임차인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