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꼬꼬무' 선감도로 끌려간 아이들 "우리는 부랑아가 아니다"…그들이 그곳에 간 이유는? '생존자' 인터뷰 눈길

bling7004 2024. 4. 19. 11:02

아이들은 왜 선감학원으로 갔나.

18일 방송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이하 '꼬꼬무')에서는 '그 섬에 아이들이 있었다'라는 부제로 선감 학원에 간 아이들의 그날을 추적했다.

2016년 7월, 허일용 씨는 한 야산에서 굴착기까지 동원한 발굴에 집중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나온 뼛조각 일부와 신발을 본 그는 자신의 쌍둥이 형 같다고 했다.

그의 쌍둥이 형은 여덟 살의 나이로 사망해 50년 만에 유해로 발견된 것. 대체 그들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기에 이런 비극을 맞은 것일까.
 
1960년대 초, 미아리에 살던 일용 씨와 그의 형은 할머니와 함께 시장 나들이를 나섰다. 그리고 어느 순간 할머니 손을 놓쳐버렸다.

그들 앞에 등장한 경찰. 형제는 집을 찾아달라고 했고 금세 집으로 돌아갈 줄 알았다. 그러나 이들은 미아보호소 등을 거쳐 선감도라는 작은 섬에 도착했다.

1969년 여름, 할머니댁에서 지내던 찰떡 형제는 수원역에서 큰 형과 놀다가 형이 일하러 자리를 비운 사이 역에서 잠이 들었다. 그리고 이들은 경찰들에 이끌려 어딘가로 갔다.
 
미아보호소를 거쳐 어딘가로 이동하는 차. 형제는 할머니집 앞을 지나가는 것을 보고 내려달라고 했지만 아이들에게 돌아온 것은 매질뿐이었다. 그리고 이들도 역시 선감도에 도착했다.
 
수원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는 중, 엄마가 화장실 간 사이 경찰들은 영수 씨를 어딘가로 데려갔다.
 
엄마를 기다리고 있다는 영수 씨의 이야기에 경찰은 엄마도 조금 있다가 오시기로 했다고 했다. 그러나 영수 씨가 도착한 곳 역시 선감도였다.

그리고 영수 씨는 선감도로 오는 도중 "여기서는 너희 자립시켜 주고 좋은 기술을 가르쳐줄 거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떠올렸다.

이들이 도착한 곳은 선감도의 선감학원.

그렇다면 그들은 왜 이곳에 왔으며 일용 씨의 형은 왜 사망했을까. 일용 씨는 형의 이상했던 마지막 모습을 떠올렸다.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된 형은 입에 담요 조각을 잔뜩 물고 죽었다는 것. 그의 형은 굶주림에 담요 조각을 먹다 죽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를 50년이 지난 후에야 찾았다는 것.

시신이 암매장된 곳에는 분묘가 150구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곳에 묻혀있는 이들은 선감학원의 피해자들.
 
사망 원인은 알 수 없으며 그 인원도 확실하게 알 수 없었다. 선감학원이 밝힌 사망 인원은 20명이지만 분묘는 150구.

선감학원에 온 아이들은 그중 일부만 학교에 보내지고 대부분의 아이들은 노역에 동원됐다.
 
무려 5000평의 염전을 농지로 개간하는 일을 하고 노동 할당량을 못 채우면 매질과 처벌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선감학원을 운영한 이는 대부분이 공무원이었다. 또한 원생들 안에 서열을 나눠 아이들을 관리하도록 했다.
 
폭행과 강제노역에 시달린 아이들은 하루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 단무지와 새우젓이 그들에게 주어지는 유일한 반찬이었으며 늘 굶주림에 시달린 아이들은 흙을 파먹고 오물을 먹고 나무 열매, 굴, 메뚜기, 쥐, 개구리 등 섬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다 먹었다.

이 아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었다. 모두 부랑아라는 것. 선감학원은 부랑아 수용시설이었다.

그러나 아이들은 부랑아가 아니었다. 정부는 법률적 정의와 단속 기준이 없이 아이들을 수집했다. 가족과 생이별한 아이들은 신원 확인 보호자 확인도 제대로 하지 않고 허위로 작성된 원아 대장만을 가지고 선감학원에 수용됐다.
 
평범한 아이들에게 부랑아라는 낙인을 찍고 무려 40년간 운영된 선감학원. 1942년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져 1982년까지 유지된 선감학원.

그곳에 수용된 아이들은 무려 4,689명에 발했다. 그러나 이 숫자조차 정확한 숫자인지도 알 수 없다.

선감학원 아이들은 어둠이 내리면 들리는 곡괭이 자루 끄는 소리에 바들바들 떨었다. 이 소리는 폭행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그리고 선감학원 원생들은 이보다 더한 짓도 당했다. 입에도 담을 수 없는 일을 당한 아이들은 힘들 때마다 엄마를 떠올렸다.
 
또한 아이들은 괴로움을 견디지 못해 탈출을 시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탈출에 성공하는 애들은 극히 소수였다. 탈출을 시도하다 잡혀 매질을 당하거나 갯벌 상태일 때 뭍으로 가다 밀물이 들어와 그 물살에 휩쓸려 사라지기도 했다.

찰떡 형제 중 형은 동생을 생각하며 견디려고 했지만 고통이 너무 심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고 했다.
 
죽으면 괴로움이 끝날 것이라는 생각을 했던 것. 그렇게 형은 약을 하나씩 모았고 이를 다 털어 넣던 그때 직원이 이를 막았다.

그리고 그 후 찰떡 형제는 다른 시설로 옮겨졌다. 극단적인 상황이 생겨야 선감학원을 나갈 수 있었던 것.

영수 씨는 수차례 탈출시도했고 선감학원에서 3년이 흐른 날 다른 시설로 이동하던 중 달아났다.
 
당시 선감학원을 취재한 기자는 내부 제보를 받아 선감도로 향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직원들이 주장하는 것과 달리 아이들에게 인권 유린이 행해진다는 것을 알아채고 이를 보도했다.
 
그러나 6년이 지난날 다시 방문한 선감학원은 무엇하나 달라진 것이 없었다.

몇 차례 문제점이 보도되었지만 개선되는 것은 없었던 것. 이는 이 문제를 알고 있는 이들이 묵인하고 방치했기 때문이었다.

찰떡 형제는 각각 시설에서 도망을 쳤고 다시 만났다. 그리고 진짜 부랑아가 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가족을 다시 찾는 일은 쉽지 않았다. 영수 씨 가족을 찾으려 애썼지만 만나지 못했다. 그러던 40년이 지난 어느 날 우연히 형을 다시 만났다.
 
한눈에 형제임을 알아본 두 사람. 영수 씨는 형에게 자신을 찾았는지 물었다. 이에 그의 형은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직전까지도 영수 씨를 그리워하며 눈물로 지새웠음을 밝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형을 만나기 불과 몇 년 전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묘를 찾은 영수 씨. 그는 너무 늦게 와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할 수밖에 없었다.

일용 씨는 가족을 찾지 못했고 찰떡 형제는 다행히도 가족을 찾았다. 그러나 찰떡 형제의 형은 아직도 가끔 선감도를 찾아가고 있었다.

당시 외로움을 함께 견뎌냈던 친구 망치가 그곳에 남아있기 때문. 그리고 지난해 그는 친구를 찾았다.
 
선감학원 피해자들의 유해와 유품들 중에서 망치의 유품을 한눈에 알아보았다. 항상 함께 굴을 까먹을 때 썼던 굴 까던 도구를 찾아낸 것이다.


그렇게 현장으로 찾아간 형은 친구의 유해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최근 선감학원의 유해 발굴을 직접 추진하기로 한 경기도. 그리고 진화위에서는 선감학원과 관련된 기관에 모두 인권 유린 책임이 있다며 공식적 사과를 권고했다.


현재 선감학원 피해자들은 지원금도 받을 수 있게 된 상황. 하지만 도의 예산이라 경기도 거주자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아쉬움을 자아냈다.


국비 지원을 계속 추진 중이지만 현재 그 일정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방송은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미래의 아이들의 꿈은 지켜주길 당부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헌법의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범하고 모든 국민은 신체의 자유를 가지며 누구든지 법률에 의하지 아니한 체포, 구금, 수색, 심문, 처벌, 강제노역을 받지 아니한다"라는 기본적인 권리하나 누리지 못한 아이들의 삶을 안타까워했다.

선감학원

 
 

'꼬꼬무' 선감학원 사건 뭐길래
…'생존자' 인터뷰 눈길

 
이번 편은 선감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선감학원 사건은 국가정책에 따라 일제강점기인 1942년부터 1982년까지 부랑아 교화라는 명분 아래 4700여 명의 소년들에게 강제노역, 구타, 가혹행위, 암매장 등 인권을 유린한 사건이다.
 
이는 지난 2020년 SBS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방송되기도 했다.

선감도(仙甘島)에는 1942년 일제 강점기부터 1982년까지 ‘선감학원’이라는 소년 수용시설이 있었다. 이곳에서는 소위 부랑아 즉, 고아나 걸식아동을 구호한다는 본래의 목적과 달리 참혹한 인권유린이 벌어졌다.

당시 방송에 등장한 선감학원 생존자들은 "일하는 양이 적고 동작이 느리다면서 이제 머리통도 치고 조인트도 까고", "새우젓에 구더기가 이렇게 간다고요. 그걸 우리는 먹었어요", "밤마다 성폭행 당했어요", "지옥이라는 표현도 아깝다" 등 피해 상황을 전했다.
 
선감학원에 온 아이들의 3분의 2는 부모나 연고가 있는 아이들이었다. 이들은 길에서 막무가내로 경찰이나 공무원들에 의해 수집됐다.
 
선감학원에 입소한 후 가족이 있다고 말하면 무자비한 구타가 이어졌다. 상당수의 아이들이 섬 밖으로 탈출을 시도하다 갯벌과 바다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아동 삼청교육대'라 불리기도 했던 선감학원의 운영주체는 국가였다. 경기도가 보관하고 있는 4691명의 선감학원 원아대장 기록에 의하면 선감학원에서 사망한 아동은 24명.

반응형

 
하지만 피해 생존자들은 실제로 사망한 아동의 수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경기도는 올해 3월부터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에 대한 유해발굴에 나섰다. 발굴 대상지역은 안산시 선감동 산37-1번지 총면적 2400㎡의 묘역으로, 약 114기의 선감학원 희생자 유해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선감학원

 
 

강제노역 시달리다 죽어간 아이들,
선감학원에 무슨 일이…'꼬꼬무' 조명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이하 '꼬꼬무')가 선감학원을 조명한다.

18일 방송될 '꼬꼬무'는 '그 섬에 아이들이 있었다' 편으로, 무려 40년간 운영된 선감학원의 참혹한 진실을 낱낱이 공개한다.

지난 2016년 7월, 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야산에 굴착기까지 동원한 발굴이 진행됐다.
 
수풀을 걷어내고 땅을 파자 드러난 것은 머리뼈를 비롯한 뼛조각 일부와 아이의 신발이었다.
 
관도 없이 암매장된 유해는 키 120cm가량의 어린아이였다. 이를 지켜보던 한 남자가 떨리는 목소리로 입을 열었다. "우리 쌍둥이 형 시신 같다"고.

형의 유해를 찾게 된 남자는 허일용 씨다. 일용 씨의 쌍둥이 형은 여덟 살의 나이에 사망했고 그 유해가 무려 50여 년 만에 발견된 것이다.
 
도대체 여덟 살 어린아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고 그동안 일용 씨는 왜 형의 시신을 찾지 못한 걸까.
 
때는 1960년대 초, 미아리에 살던 일용 씨와 형은 할머니와 함께 시장 나들이에 나섰다. 쌍둥이 형제는 시장에서 할머니의 손을 놓쳐버렸고 이런 형제에게 다가온 사람은 경찰이었다.
 
쌍둥이 형제는 경찰이 집을 찾아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들은 아동보호소를 거쳐 어떤 섬으로 보내졌다.

그런데, 이렇게 섬으로 보내진 아이들이 한둘이 아니었다. 수원역에서 깜빡 잠이 들었던 열 살, 여덟 살 형제도 경찰의 손에 의해 미아보호소를 거쳐 섬에 가게 되었고, 심지어 엄마와 함께 있던 영수는 엄마가 잠깐 화장실에 간 사이 경찰에 의해 차에 태워져 섬에 보내졌다.

300x250

어느 날 갑자기 가족과 헤어져 끌려간 섬은 바로 '선감도'였다.
 
선감도에 도착한 아이들은 선감학원이란 시설에 수용됐다. 원생들에게 기술을 가르쳐 주고 자립을 도와준다는 선감학원. 하지만, 영문도 모른 채 수용된 아이들은 매일같이 강제 노역에 시달렸다.
 
논일, 밭일, 염전 일까지 하며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잔혹한 폭행이 뒤따르는 생활이 매일같이 이어졌다. 성장기인 아이들에게 제공된 식사 또한 차마 말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선감학원 피해자들은 "선감도가 아니고 지옥도다", "불지옥에 가더라도 그곳에서의 생활만큼 힘들지 않을 거다"라고 말한다.
 
이들이 지옥이라고 말하는 이곳에서 원생들이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일용 씨의 쌍둥이 형 또한 선감학원에서 죽음을 맞은 것이었다.

선감학원 암매장 추정지의 분묘는 최대 150기. 무려 150명의 아이들 시신이 이곳에 묻혔을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아이들은 어떤 이유로 죽어간 것이고, 선감학원은 누가, 왜 운영해 온 것인지 '꼬꼬무'에서 공개한다.

선감학원

이번 '꼬꼬무'의 이야기에는 방송인 제이쓴, 배우 이종혁, 개그우먼 김민경이 함께 한다.

'아들 바보'에 등극한 제이쓴은 장도연의 이야기 친구로 찾아왔다.
 
제이쓴은 이야기가 진행되자, 갑작스레 아이들과 헤어진 부모님의 심정에 공감하며 "나도 아이 아빠니까, 부모님들이 평생 어떻게 사셨을까?"라며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종혁은 장현성의 이야기 친구로 '꼬꼬무'에 처음 방문했다. 이종혁은 녹화 도중 선감학원 피해자가 그린 한 장의 그림을 보며 안타까움에 말을 잇지 못했다.

장성규의 이야기 친구는 김민경이다. 김민경은 선감학원의 참혹한 진실을 알게 되자, 깊은 분노와 함께 눈물을 쏟아냈다.

선감학원

 
 

https://naver.me/xTbN3TyY https://naver.me/GzgyiCLf https://naver.me/FgSbo5wB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