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허영인 회장, 검찰조사 회피 의도 없었다”
2024.04.03.
3일 입장문 통해 출석 불응 설명
75세 고령과 건강상태 악화 이유
“무리한 체포영장 집행에 유감”
검찰이 지난 2일 허영인 SPC그룹 회장을 압송해 조사 중인 가운데 SPC그룹이 “검찰의 무리한 체포영장 집행에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75세의 고령과 공황장애·부정맥 등의 악화로 건강 상태 호전 후 출석하겠다고 소명했음에도 체포영장을 집행했다는 것이다.
SPC는 3일 오전 입장문을 통해 “허 회장은 심신 안정을 취해 건강 상태가 호전되면 검찰에 출석하려 했고 이런 사정을 소상하게 검찰에 소명했으나 검찰이 허 회장의 입장이나 상태를 무시하고 무리한 체포영장을 집행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허 회장은 악화한 건강 상태에도 검찰 조사를 회피하거나 지연하고자 할 의도가 전혀 없고, 검찰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었지만 언론에 마치 출석에 불응하는 것처럼 여과 없이 언론에 공개됐다”고 주장했다.

증여세를 회피하려 계열사 주식을 저가에 팔도록 지시한 혐의로 기소된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2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을 나서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허 회장은 지난달 13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공수사제3부로부터 지난달 18일 오전 9시 30분까지 출석하라는 요구를 처음 받았으나 지난 달 25일 출석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파리바게뜨의 이탈리아 시장 진출을 위한 행사인 파스쿠찌사와 업무협약(MOU) 체결 일정을 고려한 것이었다고 SPC 측은 설명했다.
SPC는 “검찰은 출석일을 조정해주지 않았고 지난달 19일과 21일 연이어 출석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허 회장은 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출국금지가 돼 있었고, 검찰에 빨리 조사를 하고 출국 금지를 해제해달라 요청했음에도 한 번도 출석 요구를 하지 않다가 해외 업무 수행이 불가능해져 국내에서 어렵게 잡은 협약식 일정을 앞둔 시점에 처음으로 출석 요구를 했다”며 “허 회장은 이탈리아 시장 개척을 위해 중요한 행사를 마치고 25일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SPC는 “고령에 행사 일정을 무리하게 소화하며 피로가 누적된 데다 검찰 조사 스트레스로 건강 상태가 악화해 조사 시작 한 시간 만에 응급실로 후송되는 일이 발생했다”며 “허 회장의 건강 상태에 대해 담당 전문의는 공황 발작 및 부정맥 증상 악화 가능성이 높아 2주간 안정 가료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일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임삼빈 부장검사)는 허 회장에 대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집행했다.
허 회장은 2019년 7월∼2022년 8월 SPC 자회사인 피비파트너즈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뜨지회 조합원들을 상대로 노조 탈퇴를 종용하고 승진 인사에서 불이익을 주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최장 48시간 동안 허 회장의 신병을 확보한 상태에서 그룹 차원의 부당노동행위와 수사관과의 금품거래 사실을 알았는지, 이를 지시 혹은 승인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조사 4회 불응 허영인 SPC회장 병원서 체포
2024.04.03
“자택 앞 시위하자 노조 와해 지시”
檢, 황재복 대표 등 임직원 진술 확보
SPC 측 “의료진 반대로 출석 못해”
검찰이 파리바게뜨 노조 탈퇴 강요 의혹과 관련해 SPC그룹 허영인 회장(75·사진)이 자신의 자택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집회를 연 것에 격분해 ‘노조 와해’를 지시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조사에 수차례 불응한 허 회장을 2일 체포했다.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부장검사 임삼빈)는 2021년 3월 민노총 화학섬유식품노조 파리바게뜨지회가 허 회장 자택 앞에서 시위를 벌이자 허 회장이 황재복 대표 등 SPC 임원진에게 노조를 와해시키라고 지시한 혐의를 수사 중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 파리바게뜨 제빵기사 불법 파견 논란이 불거지자 SPC 측과 파리바게뜨지회, 고용노동부는 자회사(PB파트너즈)를 설립해 제빵기사들을 직접 고용하기로 2018년 1월 합의했다.
합의 이후 민노총은 조합원 가입이 급증하며 세를 불려 나갔고, 2019년 7월엔 임종린 지회장이 PB파트너즈의 근로자 대표로 선출됐다.
검찰은 SPC 측이 이때부터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식품노련을 지원해 매달 3, 4명의 조합원이 민노총을 탈퇴한 뒤 한국노총으로 옮긴 것으로 보고 있다. 민노총보다 온건하고 회사에 협조적인 식품노련을 지원해 민노총 와해를 시도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허 회장은 2021년 3월 파리바게뜨지회가 “사회적 합의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이유로 본인의 집 앞에서 시위를 벌이자 ‘민노총 와해 지시’를 임직원들에게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임직원들이 제빵기사들의 민노총 탈퇴를 종용하고 승진 불이익을 주는 등 부당노동행위에 조직적으로 나선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실제 2021년 3~7월 매달 100여 명이 민노총을 탈퇴했고, 700여 명이었던 민노총 조합원은 200여 명으로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황 대표 등 SPC 임직원들을 상대로 이 같은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2일 노조법 위반 혐의로 허 회장을 병원에서 체포했고, 노조 와해 지시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허 회장은 지난달부터 이달까지 업무 일정 등을 이유로 검찰 조사에 4차례 불응했고, 지난달 25일 검찰에 출석했으나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1시간 만에 귀가했다.
검찰은 조사가 끝나면 허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수사기관이 체포한 피의자를 구속하려면 48시간 안에 영장을 청구해야 한다.
SPC 관계자는 “허 회장은 개인적으로 검찰 출석을 원했다. 하지만 의료진이 반대해 출석하지 못한 것”이라며 “의료진의 소견서도 검찰에 제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naver.me/5Syl9jk6 https://naver.me/5BklxtJ8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호영 결승타' 롯데, 한화 8연승 저지…NC, LG 꺾고 3연승(종합) (99) | 2024.04.04 |
---|---|
[수지맞은 우리 7,8회] 함은정X강별, 협찬 옷 두고 팽팽한 말싸움..."네가 뭔데" (46) | 2024.04.04 |
[나는 솔로] 19기 영수 "확실하게 선 긋고 왔다"…정숙과 냉랭 (47) | 2024.04.04 |
송강, 팬들에 입대 손편지, 짧은 머리 인증 “다녀오겠습니다” (55) | 2024.04.03 |
[야한사진관 7회] 최태준, 다리에서 떨어져 사망…女 악질 스토킹 사실 밝혀져 (45) | 2024.04.03 |
[멱살 한번 잡힙시다 6회] 김하늘, 만취한 '전 남친' 연우진 데리고 숙소行 (종합) (48) | 2024.04.03 |
MBC PD수첩, '알집매트의 크림하우스 죽이기 사건' (38) | 2024.04.03 |
삼성, 화면 1.5배 커진 '갤럭시 핏3' 국내 출시…가격 8.9만원 (52)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