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메리카노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세요?" 물어봤더니 뜻밖의 답변 / "스벅보다 비싸네" 아메리카노 5000원, 가장 비싼 커피점

bling7004 2024. 11. 6. 07:10
"아메리카노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세요?"…물어봤더니 뜻밖의 답변

 

한국 소비자원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 기대보다 최대 32% 비싸


아메리카노


커피 전문점이 판매하는 음료 가격이 소비자 기대치다 최대 30%가량 비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응형


5일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5월 24~30일 최근 6개월간 커피 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73.5%가 “커피·음료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메뉴별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 평균 2635원, 카페라테 3323원, 캐러멜마키아토 3564원, 차(티) 2983원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기대하는 가격에 비해 실제 커피전문점의 판매가는 최소 13.9%(366원), 최대 32.4%(1153원)까지 비쌌다.

소비자원이 지난 5~6월 국내 주요 25개 브랜드에 대해 실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 대상 커피전문점의 메뉴별 평균 가격은 아메리카노 3001원, 카페라테 3978원, 캐러멜마키아토 4717원, 차 3555원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에도 불만이 있었다. 설문조사 대상자 1000명 중 55.2%인 552명은 카페별 주문 앱(스마트오더) 이용 과정에서 불편을 느끼거나 불만스러웠던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주문 후 변경·취소가 불가능함(33.9%) ▲주문 시 이용(또는 조작)이 어려움(33.5%) ▲할인·쿠폰 적용이 불가능함(28.1%) 등이 많았다.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주요 커피전문점 관련 소비자 상담은 총 2166건이다. 그중 주문 변경·취소 불가 등 약관·정책(43.5%, 942건)과 관련한 상담이 가장 많았다.
 

보국전자 에어셀 피치스킨 전기요 BKB-2606D - 전기요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334개를 가진 보국전자 에어셀 피치스킨 전기요 BKB-2606D!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전기요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답변#적당#아메리카노#커피전문점#설문조사

 

 

"스벅보다 비싸네"…아메리카노 5000원, 가장 비싼 커피점
아메리카노

소비자가 생각하는 커피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 기본 크기 기준 2635원으로 조사됐다. 국내 주요 커피점 평균 가격은 약 3000원으로 소비자 기대치보다 10% 이상 비쌌다.

300x250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6개월간 커피 전문점을 이용한 적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조사한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이들 중 73.5%는 커피·음료 가격이 비싸다고 답했다.

소비자가 밝힌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 2635원, 카페라테 3323원, 카라멜마끼아또 3564원, 티(차) 종류 2983원이었다. 이는 실제 가격과 차이가 있다.

스타벅스·커피빈 등 고가 브랜드부터 메가커피·빽다방 등 저비용까지 25개 전문점 가격을 평균내보니 아메리카노 3001원, 카페라테 3978원, 카라멜마끼아또 4717원, 티 3555원이었다. 

 

최대 32.4%까지 가격 괴리가 있는 셈이다. 종류별로는 카라멜마끼아또가 가격 격차(1153원)가 컸고, 아메리카노(366원)가 소비자가 생각하는 가격에 근접했다.

커피점 사이에서도 가격 격차가 상당했다. 아메리카노의 경우 커피빈이 5000원으로 가장 비쌌고 카페봄봄의 1300원이 저렴했다. 폴바셋 4700원,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 4500원도 비싼 편이었다.

커피전문점



한국소비자원 자료

 

빼빼로 뉴진스 아몬드 37g x 5p + 크런키 39g x 5p 세트, 1세트 - 빼빼로/막대과자 | 쿠팡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1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밖에 설문조사에 응답한 소비자 55.2%가 주문과정에서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 중 '주문 후 변경·취소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34%를 차지했다. 실제로 커피전문점 21개 중 15개가 앱에서 주문한 경우 취소가 불가능했다.

소비자원은 이들 업체에 주문취소 기능과 사전고지 절차를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또, 소비자 대부분이 모르는 온스(oz)단위만 사용하는 업체에겐 개선을 권고하면서 법정 단위를 표시하지 않은 사례는 관련 부처와 공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타벅스는 올해 안으로 스마트오더 앱인 사이렌오더에 취소 기능을 도입하기로 했다.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매출액)는 2019년 11조원에서 2022년 15조원을 넘기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https://news.nate.com/view/20241105n31674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9746출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