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85·95년생은 억울하다?…한 살 차이로 '144만 원'


정부가 얼마 전 내놓은 국민연금 개편안은 10살 단위로 세대를 끊은 다음에, 보험료율을 차등 인상한다는 거죠.
그런데 이럴 경우 각 세대의 경계에 있는 나이의 사람들이 한 살 차이로 150만 원 안팎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지금은 가입자 누구나 9%입니다.
연금재정 안정화를 위해 이걸 13%로 끌어올리되, 청년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50대는 1년에 1%p씩, 20대는 0.25%p씩 등으로 인상 속도에 차등을 두자는 게 정부안입니다.
그럼 얼마나 추가로 내는 걸까.
추가 보험료 총액을 계산하니, 예컨대, 75, 85, 95년생들은 76, 86, 96년생들보다 오히려 돈을 더 내게 됩니다.
월 300만 원의 소득이라면, 50대 그룹의 막내인 1975년생은 보험료 납부 완료 시까지 1천224만 원을 더 부담합니다.
그런데 40대 그룹의 맏이인 1976년생은 1천80만 원만 더 냅니다.
한 살 더 많은 75년생이 오히려 144만 원을 더 내는 겁니다.
역시 세대 막내인 85년생은 세대 맏이 86년생보다 152만 원을, 95년생은 96년생보다 136만 원을 더 부담하는 같은 현상이 확인됩니다.
10년 단위로 한 세대를 묶은 뒤, 같은 세대 안에서는 일률적으로 인상률을 적용하니 생기는 현상입니다.
전문가들은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특정 연도의 보험료 인상 시기를 미세조정해 줘, 추가로 내야 할 보험료가 나이에 따라 점증하도록 보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윤석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 : 5자 들어가는 연령층들(75, 85, 95년생)의 보험료 인상 시기를 (1월이 아니라) 7, 8, 9월까지 늦춰서 보험료를 인상한다면 부담의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역전현상을 파악하고 있다며, 국회 입법 과정에서 보완책이 마련되면 수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연금 들어오면…"퇴직연금 수익 높아져" vs "민간 금융 초토화"
국민연금, 퇴직연금 시장 참여 놓고 찬반 '팽팽'
與野, 퇴직연금 개혁 한목소리
"전문적인 별도 운용 조직 시급
국민연금이 퇴직연금 흡수하면
경쟁체제 조성돼 금융시장 성장"
20년간 전담하던 금융계 반발
"국민연금 시장개입으로 대혼란
몸집 1500조로 커져 기업 압박"
정권 입맛 따라 운용될 우려도

정치권 “덩치 키워야 수익률 높아져”

정치권은 국민연금을 끌어들이는 방안에 긍정적이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0인 초과 사업장은 국민연금을 통해, 100인 이하 사업장은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퇴직연금을 기금화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여당에선 당내 연금개혁의 ‘키맨’ 역할을 맡은 박수영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안상훈 의원 등이 찬성하고 있어 비중 있게 다뤄질 전망이다.
“1500조 국민연금, 주식시장 좌지우지”
금융업계는 공적 기관인 국민연금공단이 사적 연금인 퇴직연금 시장에 진입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영향력이 더 과도해지면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정부와 정치권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국민연금의 지배구조도 문제다.
https://news.nate.com/view/20240923n34924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324481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