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급속 확산 중… 초간단 퇴치법 3가지
'러브버그' 퇴치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23년부터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 민원이 급증했다.
지난 14일 서울시의회 윤영희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러브버그로 인한 민원은 2022년 4418건에서 2023년 5600건으로 약 27% 증가했다.
2022년에는 대부분의 민원이 은평, 서대문, 마포구에 집중됐지만 2023년에는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발생했다.
특히 강서구는 2022년 민원이 2건이었지만 2023년 207건으로 100배 이상 폭증했고, 성북구도 2건에서 141건으로 70배 이상 민원이 늘었다.
러브버그는 해충은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익충에 가깝다. 모기나 진드기처럼 전염병을 옮기거나 사람을 물지 않는다.
오히려 환경에 도움이 되는 익충으로, 방역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암수가 꼬리를 맞대고 짝짓기를 하며 날아다니는 모습 때문에 불쾌감을 유발한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난해보다 일찍 출현했다. 시민과학플랫폼 '네이처링' 기록을 보면 지난 2일 인천 부평구에서 첫 관찰 기록이 올라왔다. 지난해에 비해 열흘이나 빠른 것이다.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거리에 러브버그가 많이 보인다", "너무 징그럽다.", "퇴치 좀 빨리해달라" 등 글들이 쏟아졌다.
일부 맘카페에도 "현관문 열기가 무섭다", "외출했다가 돌아왔는데 몸에 붙어 있더라", "너무 무섭고 징그럽다.", "물만 뿌리면 죽는 거 맞느냐?" 등 반응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주말쯤 본격적인 러브버그 대발생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러브버그는 암컷 한 마리가 10만개가 넘는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충 수컷은 34일, 암컷은 일주일가량 생존 후 번식 이후 암수 모두 자연 소멸한다.
'러브버그' 퇴치법 3가지는 다음과 같다.
1. 물뿌리기
'러브버그'는 물기를 싫어한다. 눈에 자주 띄거나 몰려 있는 곳에 물을 충분히 뿌려주는 것이 좋다.
특히 창문이나 유리 등에 붙어 있다면 물을 뿌려 퇴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오래 비행하지 못하고 날개가 약한 편이라 물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러브버그는 주로 아침과 저녁에 활동성이 높으므로, 이 시간대에 정원 호스를 사용해 물을 뿌리면 효과적이다. 강한 물줄기로 러브버그가 모여 있는 곳에 물을 뿌리면, 러브버그를 씻어내는 효과가 있다.
다만 러브버그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정원이나 주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물 뿌리기는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며, 환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이다.
2. 끈끈이 트랩 사용
집안에서 러브버그가 발견되었다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끈끈이 트랩은 러브버그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들도 포획할 수 있다.
러브버그가 자주 출몰하는 장소에 트랩을 설치한다. 예를 들어, 정원, 테라스, 창문 주변, 문 근처 등이 좋은 장소다.
트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끈끈이 트랩에는 유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추가로 설탕물이나 과일 주스를 뿌려 유인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끈끈이 트랩은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운 방법으로, 다른 퇴치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러브버그의 개체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3. 방충망 정비
러브버그 실내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방충망 정비가 필수다. 러브버그는 크기 때문에 방충망의 작은 틈새를 통해서도 실내로 들어올 수 있다.
방충망에 작은 구멍이나 찢어진 부분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작은 구멍이나 찢어진 부분은 방충망 수리용 테이프 또는 방충망 패치를 사용해 수리할 수 있다.
방충망이 오래되어 내구성이 떨어졌다면, 새 방충망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러브버그가 많이 출몰하는 시기에는 기존 방충망 외에 추가로 방충망을 설치해 이중 보호를 할 수 있다.
한편 러브버그는 생태적으로 환경분해자 역할을 하고, 꽃의 화분 매개도 하는 등 익충으로 볼 수 있다. 한 종이 급격히 줄어들면 다른 벌레가 대발생할 가능성도 있어서 서식지에 화학적 방제하는 것은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익충이지만…” 2023년 서울 ‘러브버그’ 민원 1000건 넘게 증가
서울 시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한 민원이 지난해 1000건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비례)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러브버그로 인한 민원이 2022년 4418건에서 지난해 5600건으로 1182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 27%가량 늘어난 수치다.
2022년에는 은평구(3558건), 서대문구(577건), 마포구(197건)에서 민원이 집중 발생했다. 이외 자치구는 모두 20건 미만이었으며 이 중 8곳은 민원이 아예 없었다.
지난해에는 서울 전역에서 민원이 터져 나왔다. 여전히 은평구(2600건), 서대문구(978건), 마포구(437건)가 가장 많은 가운데 종로구(321건),
중구(250건), 강서구(207건), 양천구(203건), 구로구(155건), 성북구(141건) 등 6곳에서 100건이 넘게 발생했다.
특히 강서구는 2022년 2건에서 지난해 207건으로 1년 사이 10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역시 지구 온난화로 러브버그의 출현 시기가 빨라졌고,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크게 확산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윤 의원은 서울시가 익충이라는 이유만으로 러브버그와 ‘팅커벨’(동양하루살이)에 대한 방역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러브버그 성충은 꽃꿀을 먹는 과정에서 수분을 매개한다. 유충은 흙바닥에 살며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팅커벨 유충은 부식질 유기물을 분해하며 2급수 이상에서만 살기 때문에 수생태계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종으로 꼽힌다.
두 곤충은 상위 포식자인 물고기와 새에게 먹이가 돼 생태계 균형에 도움을 주며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 않아 익충으로 분류된다.
그는 “시가 지난해 한차례 현장조사 이후 물리적 방제 위주의 방역을 할 것을 자치구에 공문만 보냈다“며
“시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큰 불편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자치구에 모든 부담을 떠넘기고 ‘나 몰라라’식 행정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러브버그와 팅커벨이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익충인 것은 분명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반드시 방역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며 “물리적·친환경적 방역계획을 수립해 환경을 보호하고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시가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959996https://www.segye.com/newsView/20240617511176?OutUrl=naver 출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로2024] '황금세대 종말' 벨기에, 슬로바키아에 0-1 충격 패배 (88) | 2024.06.18 |
---|---|
"덴마크, 불닭볶음면 매워서 리콜? 진짜 이유는…" 충격 주장 (45) | 2024.06.18 |
[동상이몽2] 조우종, 2주간 4.5kg 감량+선명한 식스팩 바프 "전현무 이겼다" (종합) (54) | 2024.06.18 |
"종부세 사실상 폐지"…집값 들썩, 똘똘한 한 채로 몰리나 (46) | 2024.06.18 |
"가족은 건들지 마" 이승기, 처가 이슈→서울 부촌 땅 94억원에 매입 [종합] (56) | 2024.06.18 |
월클 모델 혜박, 벤탄쿠르에 절규하다…"손흥민 인종차별이 나쁜 농담?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죄하라" (87) | 2024.06.18 |
[4인용식탁] 김가연, 임요환 ‘재난 가방’ 공개... “지구 망해도 살 것” (종합) (54) | 2024.06.18 |
푸틴, 18~19일 24년만에 북한 방문…군사 연계 강화할 듯(종합) (44)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