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감사 일주일 전에 주식 전량 팔았다 "전세금 때문"

bling7004 2024. 5. 15. 01:16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감사 일주일 전에 주식 전량 팔았다

 

하이브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로 금감원에 진정"
…민희진 측 "감사를 어떻게 예측하나"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측근인 S 부대표가 하이브가 전격 감사에 착수하기 일주일 전에 보유한 하이브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는 이것이 미공개 정보 이용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그러나 민희진 대표 측은 "감사를 미리 알 수가 없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14일 가요계에 따르면 S 부대표는 지난달 15일 보유한 하이브 주식 950주를 2억387만원에 전량 매도했다.
 
이는 지난달 22일 하이브가 '경영권 탈취 의혹'을 제기하며 어도어에 대한 전격 감사에 착수하기 일주일 전이다.
 
S 부대표가 주식을 판 다음 날인 지난달 16일 민 대표 측은 하이브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제기한 '2차 이메일'을 하이브 경영진에 발송했다.
 
하이브는 민 대표 측이 '내부 고발'이라고 주장하는 이 이메일을 계기로 여론전이 시작되면 하이브의 주가가 내려갈 것으로 보고 S 부대표가 주식을 미리 처분한 것이라고 의심한다.
 
실제로 하이브와 민 대표 측의 갈등이 공개되면서 하이브의 주식은 크게 하락했다. S 부대표는 지난달 주식 처분으로 수천만 원 대의 손실을 피할 수 있었다.
 
하이브는 S 부대표가 하이브의 자회사인 어도어의 임원으로 '내부자'인 만큼, 이날 중 풍문 유포와 미공개 정보 이용 등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S 부대표를 조사해달라는 진정서를 금융감독원에 낼 예정이다.
 
또 민희진 대표 등 다른 어도어 경영진에 대해서도 이들이 표절 의혹 등 하이브 입장에서 '허위 정보'를 유포해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끼친 혐의로 금융감독원에 조사를 요청할 계획이다.
 
하이브는 감사 과정에서 민 대표 등이 주가가 내려갈 것을 알고 있었다는 카카오톡 대화 내용도 확보해 이를 증거로 제출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민 대표 측은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전면 부인했다.
 
민 대표 측 관계자는 "감사가 전격적으로 시작했는데 어떻게 미리 이를 예측할 수 있느냐"며 "말이 안 되는 논리"라고 반박했다.
 
또 "감사를 시작한 날 경영진 교체를 위해 임시주총 소집을 요청한 하이브야 말로 감사 결과를 미리 내다본 게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3주 넘게 이어지는 하이브와 민 대표 양측의 갈등은 민 대표가 낸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신청 결과에 따라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이 가처분 신청 심문기일은 오는 17일 열린다.
 
양측은 가처분 신청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공방을 주고받을 공산이 크다.
 
전날에는 뉴진스 멤버의 부모가 아일릿의 유사성 등에 항의하는 취지의 이메일을 하이브에 보낸 사실이 알려졌지만,
 
하이브는 "이 이메일 자체가 부모님이 아닌 L 어도어 부대표와 민 대표가 작성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반박한 바 있다.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감사 전 주식 매도? "전세금 때문"

 

하이브 향해 "주가하락 책임 누구에게 있냐"

 
하이브가 산하 레이블 어도어 경영진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내부자 거래로 하이브 주식을 매도했다며 금융감독원에 조사를 요청한 가운데,
 
어도어 측이 하이브를 향해 "주가하락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억지 주장과 과도한 경영진 흠집내기를 멈추라"고 경고했다.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14일 가요계에 따르면 어도어 S부대표는 지난달 15일 보유한 하이브 주식 950주를 2억387만원에 전량 매도했다.
 
하이브가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경영권 탈취 의혹을 제기하며 전격 감사에 착수하기 일주일 전이자, 민 대표가 하이브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제기한 2차 이메일을 보낸 전날이다.

반응형

하이브는 민 대표와 분쟁이 본격화하면 하이브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보고 S부대표가 주식을 미리 처분한 것으로 추정, 금융감독원에 풍문 유포와 미공개정보 이용 등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S부대표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어도어는 "본 사태를 시작한 것은 어도어가 아닌 하이브"라면서 "하이브는 4월 22일 감사 착수와 동시에 그 내용을 대대적으로 언론에 공표했다.
 
감사 착수와 동시에 임시주총소집을 요청했다. 이는 감사결과와 상관없이 이미 어도어 경영진을 교체하겠다는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터무니없는 스타일리스트 금품 횡령 주장, 그리고 이번 어도어 부대표의 시세조종 주장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의 하이브의 행보를 보면 어도어 경영진을 흠집 내 해임하려는 악의적인 의도를 명백히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S부대표의 주식 매도와 관련해서는 "하이브의 주장대로라면 4월 22일 하이브의 감사권 발동을 미리 예상하고 주식 950주(약 2억 원 규모)를 일주일 전인 4월 15일 매각한 것이 된다.
 
어도어 경영진은 당연히 하이브의 감사 계획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S부대표의 해당 거래로 인해 차액은 1900만원에 불과하다.
 
부대표는 4월 8일 전세집 계약을 진행했고, 전세집 잔금을 위해 주식을 매각한 것"이라며 계약서를 공개했다.
 

어도어 부대표 하이브

 
지난 4월 3일 민 대표, S, L부대표, K 사내이사가 모두 함께 있는 단체 카톡방에서 "소송전으로 가면 주가 나락가는 거라 소액주주들이 소송걸고 싶다 이런 얘기 나올 거고…
 
이런 애들이 붙어주면 하이브 괴롭죠 상장사로서", 4월 18일 "공정위->여론전->소송",

300x250

"직접 손에 피 안묻히는 방법은 공정위->기자에게 흘려주기-> 주가 폭락->소액주주들이 소송하게 만들기" 등의 대화가 오갔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아일릿 표절 이슈'와 관련된 대화라고 했다.

어도어는 "'아일릿 표절 이슈'가 지속될 경우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내용"이라며 "내부 고발이 받아들여 지지 않는 만약의 경우,
 
최종적인 방법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 내용을 신고하는 방법, 표절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외부 탄원을 진행하는 방법, 부정경쟁방지법으로 표절이 부당하다는 점을 알리는 방법 등을 고려한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우습게도 이 모든 내용은 하이브가 시작하지 않았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사안들이다.
 
주주간 계약의 불합리함도, 아일릿 표절 사태도, 스타일리스트 및 내부고발로 이슈 제기된 문제점들도 하이브는 내부적으로 사전에 해결할 수 있었던 사안임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
 
하이브는 정확한 맥락을 설명하지 않은 채 자극적인 단어들을 교묘하게 편집해 거짓 사실로 매일 여론을 호도하며 피로감을 쌓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이브는 감사에서 사실관계를 가리기 위한 용도가 아닌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관련 없는 대화를 부분 발췌해 짜깁기 날조하지 말라.
 
어도어의 A부대표는 5월 9일부로 정보제공 및 이용동의 철회 통지서를 통해 철회 의사를 밝혔다.
 
그럼에도 하이브는 계속해서 계열사 직원의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 이러한 행태가 지속될 시 관계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민형사상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끝으로 뉴진스의 컴백을 앞둔 중요한 시기임을 강조하며 "지금 주가하락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냐"고 반문했다.
 
아티스트를 보호하라면서 언론플레이를 중단하고 법정에서 사실관계를 다루자고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514076200005?input=1195m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1492937출처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