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근로자의 날 일하면 휴일수당은?…직장인 4명 중 1명 출근 예정이라는데 근무자 37% "수당 못받아"

bling7004 2024. 4. 30. 13:46
'근로자의 날'
일하면 휴일수당은?
…직장인 4명 중 1명
출근 예정이라는데

 

 

내달 1일 근로자의 사기, 권익, 복지를 향상시키며 근로의욕을 높이자는 뜻에서 제정된 기념일인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직장인 4명 중 1명가량이 출근을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근로자의 날



인적자원(HR) 테크기업 인크루트는 근로자의 날을 맞아 ‘회사에 바라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응답자 10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이뤄졌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는 ±2.9%다.

 

근로자의 날 응답자의 24.3%가 출근한다고 답했다. 작년 동일 조사 대비(30.4%) 출근하는 이들은 6.1%포인트 줄었다.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는 이들의 회사를 규모별로 분류해 교차분석한 결과 상시 근로자 수 5인 미만의 영세기업은 41.3%였고, 이어 공기업·공공기관(29.5%), 중소기업(22.2%), 중견기업(22.2%), 대기업(14.9%) 순으로 조사됐다.

 

반응형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회사에서 휴일근로수당 또는 보상휴가를 ‘준다’는 응답은 37.5%, ‘주지 않는다’는 응답이 37.2%였고, ‘따로 안내해 주지 않아 모르겠다’는 응답은 25.3%였다.



근로자의 날을 맞아 회사에 가장 바라는 점은 상여금 지급 또는 확대(33.2%)가 가장 많았다.



그 외 사내 복지 증대(19%), 연봉협상 등 합리적인 인사평가 시스템 구축(10.3%), 대표, 임원진들의 마인드 개선(8.6%), 퇴근 시간 보장(8.3%), 정년보장(7%) 등이다.

 

회사의 규모를 막론하고 ‘상여금 지급 또는 확대’를 1순위로 꼽았다. 영세기업은 ‘퇴근시간보장’,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공공기관은 ‘사내 복지 증대’, 대기업은 ‘합리적인 인사평가 시스템 구축’을 2순위로 꼽았다.



재직 중인 회사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물어본 결과(주관식) 평균 10점 만점에 6.1점을 기록했다.

 

회사 규모별로 교차분석해 보니 공공기관의 재직 중인 직장인들이 6.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줬으며 중소기업 직장인들이 5.9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줬다.

 

근로자의 날


 

'근로자의날'
직장인 4명중 1명 출근…
근무자 37% "수당 못받아"

 

인크루트 조사…회사에 가장 바라는 점

"상여금 지급·확대"

 

내달 1일 '근로자의 날' 당일 직장인 4명 중 1명가량이 출근하지만, 이들 중 37%는 휴일근로수당 또는 보상휴가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는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지난 23∼24일 직장인 1천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근로자의 날

근로자의 날 당일 근무한다는 답변은 24.3%로 나타났다. 작년 동일 조사(30.4%)와 비교했을 때 출근하는 직장인은 6.1%포인트 줄었다.

 

규모별로 보면 근로자 수 5인 미만 기업의 근로자 가운데 41.3%가 출근한다고 답했고, 이어 공기업·공공기관(29.5%), 중소기업(22.2%), 중견기업(22.2%), 대기업(14.9%) 순이었다.

 

근로자의 날은 관련 법률에 따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사업장 규모와 업종 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받는 유급 휴일이다.

300x250

근로자의 날 당일 근무자들에게 회사가 휴일근로수당 또는 보상휴가를 주는지 묻자 37.2%가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준다'는 답변은 37.5%, '모르겠다'는 답변은 25.3%였다.

 

재직 중인 회사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10점 만점에 6.1점을 기록했다.

 

규모별로 공공기관 직장인이 가장 높은 점수(6.7점)를, 중소기업 직장인이 가장 낮은 점수(5.9점)를 줬다.

 

회사 규모를 막론하고 직장인이 회사에 가장 바라는 점은 상여금 지급 또는 확대(33.2%)였다. 사내 복지 증대(19%), 합리적인 인사평가 시스템 구축(10.3%) 등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의 날

 


https://news.nate.com/view/20240430n07876 https://www.yna.co.kr/view/AKR20240430029300003?input=1195m 출처

300x250
반응형